자녀의 마음 건강이 걱정되는 부모들은 많습니다. 최근 한 어머님은 자녀가 '죽음'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며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고민에 빠졌습니다.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의 뉴스레터와 앱을 통해 자녀의 마음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자녀와의 소통을 통해 마음 건강 지키기
부모로서 자녀 건강에 대한 걱정은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특히나 최근 들어 자녀가 불안한 감정에 대해 더 많은 질문을 하게 되었다면,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어린 자녀가 '죽음'이나 '지옥' 같은 주제를 이야기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그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입니다.
부모가 자녀와 소통할 때는 그들의 눈높이에 맞춰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가 불안감을 이야기할 때 그 감정을 인정해주고, 충분한 경청이 필요합니다. "어떤 것이 가장 무서워?" "그 상황에서 어떤 기분이 들었니?"와 같은 질문을 통해 자녀가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대화 중에 부모가 지나치게 불안해하거나 과도하게 걱정하는 모습을 보이면 자녀는 더욱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는 차분한 태도를 유지하며 실질적인 조언과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죽음'과 같은 민감한 주제는 가벼운 농담이나 긍정적인 메시지를 통해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오래 기억하는 것은 좋은 일들이니까, 좋았던 일로 이야기하자'라는 식으로 방향을 잡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자녀와 마음 건강에 대한 대화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자녀의 마음 건강을 위한 유용한 앱과 정보가 제공되므로, 이를 통해 자녀가 상담이나 치료를 받을 수 있게끔 안내해줍니다.
유용한 자원 활용하기
상담과 지원은 자녀의 마음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요즘 신세대는 온라인 상담 앱을 통해 더욱 쉽게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습니다. ‘다들어줄개’ 앱 같은 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청소년들이 쉽고 익명으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부모가 이 앱에 대해 자녀에게 설명해주는 것은 자녀가 필요한 순간에 도움의 손길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첫걸음입니다.
이와 함께 '라임(lime)' 앱은 자녀의 마음 건강을 관리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 앱은 자녀가 자신의 기분과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일상 속에서 감정 체크를 통해 자아를 돌아볼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런 도구들은 자녀가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을 주며, 그들이 느끼는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출구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의 뉴스레터와 정보는 자녀의 마음 건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부모 교육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뉴스레터 가운데 '내 아이의 마음건강 지키기'는 자녀가 겪는 여러 문제를 해소하는 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녀의 마음 건강을 지켜나가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의 중요성
자녀의 마음건강은 단순히 한 번의 대화나 상담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의 마음 건강을 위한 일상적인 대화의 장을 마련하고, 그들에게 개방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가 마음의 안정을 찾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부모의 역할은 매우 큽니다. 부모가 자녀의 마음 상태를 알아채기 위해서는 평소에도 자녀와의 대화, 소통을 적극적으로 이어가야 합니다. 정기적으로 자녀의 상태를 체크하고 어떤 변화가 있는지 관심 가져야 합니다. 자녀가 힘들어할 때 언제든지 부모에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마지막으로, 자녀의 걱정이나 불안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단순한 걱정이 아니라, 지속적인 문제일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자녀와 함께 관리와 지원을 통해 마음 건강을 지키고, 더 나아가 행복한 성장의 변화를 만들어가시길 바랍니다.
자녀의 마음 건강은 지금 지켜야 할 중요한 문제입니다. 부모의 역할은 그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자녀가 겪는 불안과 두려움이 그냥 지나치지 않도록 주의 깊게 살피고, 적절한 자원과 방법을 통해 자녀의 마음 건강을 지켜주세요.